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인플레이션의 뜻 알아보기

by 부자의행복 2022. 8. 7.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해서 상승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가능한 한 간단명료하게 말했지만 빠르게 이해하기는 힘드실 것입니다. ‘물가’라는 것은 말 그대로 물건의 가격입니다. 물건의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돈의 가치가 감소한다는 의미와도 같습니다. 지금부터 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인플레이션이 왜 일어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의 뜻

앞에서 언급했듯이 인플레이션은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물건의 가격이 지속해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당연하게도 돈의 가치가 감소하면 같은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서 더 많은 돈을 지불할 수밖에 없습니다.

  1. 화폐의 가치 하락
  2. 물가 상승

명확하게 어느 정도의 기간 얼마만큼의 물가가 상승했을 때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는지에 대한 기준은 없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경제가 조금씩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경제적 능력도 함께 올라가면서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가 상승하고 물가가 조금씩 상승하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코로나 이전에도 물가는 조금씩 상승하기는 했지만 기대치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그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경기 침체기라고 생각되는 시기들도 있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세 가지로 나누어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1. 물건(재화)에 대한 수요 상승
  2. 물건의 공급 감소
  3. 통화량 증가

 

 수요 상승

수요가 상승하면 사람들은 더 많은 돈을 주고서라도 물건을 사고 싶어 하게 되고 가격이 상승합니다. 사람들은 임금이 상승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주식의 가치가 상승하는 등 생활에 여유가 생기면 그만큼 더 많은 돈을 사용하게 됩니다.

 

 공급 감소

  • 코로나 사태로 인해 기업들이 물건을 생산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서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방역을 위해 공장 가동을 중지시키고, 기업들이 긴축하며 실업률이 상승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일하지 않아도 지급되는 기초생활비용이 최저임금보다 높아져 사람들이 일하지 않으려는 현상도 나타났습니다. 물건이 부족해지면 사람들은 더 많은 돈을 주고서라도 그 물건을 구매하려 합니다. 
  • 이처럼 공급 감소에는 여러 가지 특수한 상황이나 구조적인 문제들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환율을 올리는 중에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이 일어나면서 유가가 상승하고 곡물 생산과 공급에 차질이 생겨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물가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그 밖에 제품 생산을 위해 필요한 금액이 상승할 때도 물건의 가격이 상승합니다. 원자재 가격이 올라가거나 지불해야 할 임금이 상승하거나 공장 임대료가 올라가거나 하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생산비가 증가하게 되면 제품의 가격도 그에 맞춰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

 

유로_지폐_쌓여있다_썸네일
유로 지폐

 

 통화량 증가

코로나 사태로 일어날 경제 위기를 막기 위해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는 화폐를 대량 발행해 해결했습니다. 화폐 발행과 더불어 금리 인하를 통해 통화량이 늘어나고 당시의 경제는 활성화해 호황을 누릴 수 있었지만 돈이 많아지니 돈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인플레이션 대책

  • 특별한 원인이 있다면 그 부분을 해결하는 것이 인플레이션 대책이 될 수 있겠지만 가장 일반적인 정부나 연준의 해결 방법은 금리 인상입니다. 금리를 인상한다는 것은 이자를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인데, 이자가 크다는 것은 그 가치가 크다는 의미와 일맥상통합니다.
  • 여러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야 끝도 없지만, 우리는 여기서 단순한 하나의 사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정부가 환율을 내리고 모두가 환호성을 지를 때 위기에 대비해야 하고, 환율을 올릴 때 오히려 안도하고 적절한 투자의 기회를 노려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