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설정법 간단하게 알아보기

by 부자의행복 2022. 9. 6.

볼린저 밴드 설정법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볼린저 밴드는 1980년대에 ‘존 볼린저’가 개발한 보조지표입니다. 가격의 변동은 이동평균선의 표준편차에 수렴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어떻게 설정하면 좋을지, 참고할 부분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일반적인 볼린저 밴드 설정 방법

 1) 표기법

  • BB(중심선의 이동평균선 기간, 상한선과 하한선의 표준편차 승수 값)

 2) 일반적인 볼린저 밴드 설정값

  • BB(20,2)
    • MA20 (20 이동평균선)을 중심선으로 한다.
    • 표준편차 승수에 2를 곱한 만큼 상한선과 하한선의 폭을 정한다.

 

2. 볼린저밴드 설정 응용 방법

  • 20을 늘려주면 중심선의 움직임(변동성)이 적어집니다.
  • 2를 늘리면 상한선과 하한선의 폭이 넓어집니다.

 

3. 볼린저 밴드의 단점, 한계

 1) 볼린저 밴드의 움직임

  • 볼린저 밴드는 가격이 수렴할 때 좁아집니다.
    • 수렴할 때는 계속 수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가격의 방향이 정해지고 발산하면 폭이 넓어집니다.
    •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면 폭이 넓어져 가격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2) 문제는?

한쪽 방향으로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하거나 계속해서 하락해도 결국 볼린저 밴드 안으로 들어오게 되긴 하지만 가격이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볼린저 밴드가 가격을 따라 이동합니다.

 

4. 볼린저 밴드 설정의 핵심

  • 수렴과 발산 시의 대처 방법을 미리 생각한다.
  • 상한선과 하한선의 폭을 이용해 매매 빈도와 리스크 부담을 결정한다.
  • 어떤 지표나 어떤 전문가의 의견도 절대 가격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국은 추측일 뿐이고 가격은 변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을 생각하고 매매한다.

 

 

댓글